출력방식별 3D프린팅 특징 #FDM #SLA #SLS #DLP

3D 프린터 관련 게시글을 보다보면 FDM /SLA 등 다소 낯선 단어들이 등장할 때가 있습니다. 바로 3D 프린터의 출력 방식을 일컫는 용어들인데요, 오늘은 출력방식에 따른 3D 프린팅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어떤 방식이 특정 프로젝트에 적합한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1. FDM 방식 : 대중적이고 경제적인 선택

FDM(Fused Deposition Modeling)은 가장 대중적인 3D 프린팅 방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가열된 노즐을 통해 필라멘트를 압출하여 층을 쌓아올리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3D 펜도 이렇게 층층이 쌓는 형태를 구축하고 있어요. 보통 ABS 소재를 활용하여 시제품 제작에 사용하고 있어요. 가격이 저렴한 편이지만 표면이 거칠어 후가공이 필요한 방식이에요. (필라멘트 종류 확인)

재료 : 주로 ABS, PLA와 같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장점 : 경제적이며 다양한 재료 옵션 사용 가능
단점 : 출력 표면이 거칠고, 후가공이 필요할 수 있음

출력방식별 3D프린팅 특징 #FDM #SLA #SLS #DLP
FDM

2. SLA 방식 : 정밀한 광경화 방식

SLA(Stereolithography)는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레이저로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광경화성 방식인 SLA는 UV 레이저가 재료에 조사되면서 출력이 되는 원리를 가집니다. 퀄리티가 높고 출력속도도 빠르지만 고가의 광경화성 재료를 사용해주어야합니다. 출력 시에는 냄새가 나기 때문에 잊지말고 환기를 해주셔야 합니다.

재료: 광경화성 수지
장점: 매우 정밀하며 매끄러운 표면 품질 제공
단점: 재료와 장비가 고가이고, 출력 중 냄새가 발생

출력방식별 3D프린팅 특징 #FDM #SLA #SLS #DLP
SLA

3. DLP 방식 : 빠르고 정교한 출력

DLP(Digital Light Processing)는 SLA와 비슷하지만, 빔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굳히는 방식입니다. 출력 속도가 빠르며 높은 정밀도를 자랑합니다. DLP 출력 방식은 소형 정밀 부품 제작에 활용되며, 예술품 제작과 같은 세밀한 작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냅니다.

재료: 액상 광경화성 수지
장점: 출력 속도가 빠르고 정밀도가 뛰어남
단점: 재료가 제한적이고 비용이 높음

4. SLS 방식 : 정밀한 파우더 융합 방식

재료를 층층이 쌓아올리는 방식을 사용하며 액체 접착제나 레이저를 활용해 융합시킬 수 있습니다. 정밀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장비가 굉장히 크고 고가이기 때문에 대중적이지는 않습니다. 산업용 부품 제작 및 항공우주, 자동차 산업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재료: 나일론, 금속 분말 등
장점: 높은 정밀도와 강도를 제공
단점: 장비가 크고 고가이며, 일반 사용자에겐 접근성이 낮음



3D 프린트 출력방식 별 특징

출력방식별 3D프린팅 특징 #FDM #SLA #SLS #DLP

출력 방식 선택 시 고려 사항

3D 프린팅 출력 방식을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1. 예산: 초기 장비 비용 및 재료 비용
  2. 필요한 정밀도: 제품의 세부 사항 요구 수준
  3. 용도: 시제품 제작, 교육, 예술품 제작 등
  4. 출력 속도: 프로젝트 일정에 따라 중요한 요소


다양한 출력 방식은 각각 고유한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활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D 프린터를 통해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출력 방법의 차이를 이해하고 활용해 보세요.

공유하기

다른 포스트